흰 쥐와 검은 쥐 (인생[人生]) 한 나그네가 끝없이 펼쳐진 벌판을 걷고있다. 가도가도 인가는 보이지 않고 길조차 없는 벌판.... 그러자 갑자기저 뒤에서 집채만한 미친 코끼리 한 마리가 단숨에 그를 밟아 죽일 기세로 달려오고 있는 게 아닌가. 나그네는 기를 쓰고 도망쳤다. 한참을 달리니 다행히 조그만 우물이 하나있어 그 속으로 등나무 넝쿨이 한 줄기 드리워져 있어 얼른 넝쿨에 매달려 우물속으로 몸을 숨겼다. 사나운 기세로 뒤쫓아오던 코끼리는 좁은 우물안으로는 들어갈 수가 없어 그 주변만 맴돌고 있었다. 일단 코끼리는 피했는데, 가만히 주변을 살펴 본 나그네는 소스라치게 놀라고 말았다. 우물 저 밑바닥 네 구석에는 네 마리의 독사가 혀를 낼름거리고 우물 한 복판에는 무서운 독룡이 독기를 내뿜으며 먹이가 떨어지기만을 기다리고 있고, 위를 보니 어디선가 나타난 흰쥐와 검은 쥐가 서로 번갈아 나그네가 부여잡고 있는 그 등나무 줄기를 조금씩 갉아먹고 있는 것이었다. 두려움에 덜덜 떨리는 몸으로 나그네는 어서 이끔찍한 우물 밖으로 빠져나가려 하니 어슬렁거리던 코끼리는 어디 가고 설상가상이라 어디선가 스며든느 자욱한 연기, 매캐하게 밀려드는 그것은 벌겋게 타오르는 불, 사방을 휩쓸고 가는 엄청난 들불이었다. 진퇴양난. 이제 나그네는 더 이상 어떻게 움직여 볼 희망조차 없이 오직 언제 떨어질지 모를 아슬아슬한 한 줄기 넝쿨만 부여잡고 있었다. 바로 그때, 어디서인지 꿀물 다섯 방울이 나그네의 입술에 똑똑 떨어진다. 너무도 달콤한 그 맛에 지금 이 순간 그에게 닥친 모든 두려움과 괴로움들을 까맣게 잊고 있었다. 바라본 그곳에는 괴로움들을 위로 몇 마리의 꿀벌들이 집을 짓느라 앉았다 날았다 하고 있었다. 다시 꿀이 떨어지기를... 어느새 꿀벌들이 놀라 달아다니며 나그네의 얼굴과 머리를 쏜다. 그 와중에 따끔한 아픔 나위가 신경을 거슬리고, 벌을 피하려 몸을 움직이다가 넝쿨을 잡고 있던 손을 하마터면 놓쳐 저 아래 독룡의 입속에 들어갈 뻔도 했다. 나그네의 괴로운..차마 말로 다 할 수 없다. 누구의 이야기인가? 이 이야기는 [불설비유경]에 나오는 우리네 인생에 대한 비유이다. 사람이 태어나 한 평생을 살아가는 모습이 참으로 이 나그네와 어찌 다르겠는가. 나그네는 인생 그 자체를, 황량한 저 벌판은 빛이 없이 길고 캄캄한 밤중 같은 무명장야無明長夜를, 코끼리는 무상無常함을, 우물은 태어나고 죽는일(生死大事)로 험한하기 그지없는 이 세상을, 한 줄기의 넝쿨은 결코 영원하지 못한 우리의 가녀린 생명줄을, 검은 쥐와 흰쥐는 밤과 낮의 세월을, 독사 네 마리는 우리의 육신을 이루고 있는 4가지 요소(四大)인 지수화풍(地水火風)을, 다섯방울의 꿀물은 오욕락五慾樂(재물욕, 애욕,음식욕,명예욕,수면욕)을, 꿀벌은 삿된 생각을, 들불은 �병듦을, 독룡은 영원한 우리의 화두인 죽음死을 각각 상징하고 있다. 이처럼 우리들의 한평생 삶의 참모습은, 마치 우물속의 무시무시한 고통은 까맣게 잊어버리채 우선은 즐겁지만 삿되고 그릇된 바탕에서 나온 오욕략의 꿀물에 정신이 빠져 전혀 벗어날 생각을 하지 않는 이 나그네의 모습 그대로입니다. 삼계三界(중생이 윤희하며 떠도는 세계를 3가지로 나누어 욕계, 색계, 무색계, 즉 3계라 함)가 화택 火宅(불구덩이집)이라.. 어서 어서 벗어 나오소서!
'~벽화 이야기~ > ~벽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에게 법문을 하다~ (0) | 2008.01.17 |
---|---|
~수자타에게서 우유 공양을 받는 태자~ (0) | 2008.01.17 |
~鳥과禪師(조과선사)와 白樂天(백락천)~ (0) | 2008.01.17 |
~천상과 지옥을 구경하다. 난다의 출가~ (0) | 2008.01.17 |
~구정선사 이야기~ (0) | 2008.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