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N style="FONT-SIZE: 15pt; COLOR: #330033; LINE-HEIGHT: 35px; LETTER-SPACING: 2px"><PRE><FONT face=돋움><B>
여기에서 font-size:15pt는 글씨크기이고 letter-spacing:2px 는
글짜와글짜사이의 간격이고 color:330033 에서 330033 가글짜색깔
line-height=35px 는 글짜줄과 줄사이의 간격이다.
face=돋움 는 글짜모양이다.
<PRE><FONT style="FONT-SIZE: 15pt" face=돋움 color=#006633> <SPAN id=style style="LINE-HEIGHT: 33px"><B>
여기에서는 FONT-SIZE: 15pt 가 글짜크기이고 face=돋움 글짜모양
color=006633 에서 006633 가 글짜색깔 LINE-HEIGHT: 33px 는
글짜줄과줄사이의 간격 글짜색깔만 바꿀때는 <FONT color=#330066>
만 부처넣기해서 속의 330066 만 바꾸면되고
글짜크기만 바꿀때는 <FONT size=+1> 를 넣어면 된다.
****************************************
<PRE><FONT style="FONT-SIZE: 15pt" face=돋움 color=#006633> <SPAN id=style style="LINE-HEIGHT: 13px"><B>
아난여시아문도 <BR>
<PRE><FONT style="FONT-SIZE: 15pt" face=엽서체 color=#ce0000> <SPAN id=style style="LINE-HEIGHT: 13px"><B>
아난존자는 오랫동안 부처님을 모시면서 보고들은 <BR>
부처님 말씀을 모두 전달한 큰 역할을 한 분이다. <BR>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아난존자에 대한 그림은 <BR>
거의 볼 수 없고 있다면 후불탱화에서 십대제자중 <BR>
한사람으로 등장할 뿐이다. <BR>
<PRE><FONT style="FONT-SIZE: 15pt" face=돋움 color=#990099> <SPAN id=style style="LINE-HEIGHT: 13px"><B>
그점이 아쉬워 아난존자의 여시아문을 구상해 보았다. <BR>
바깥쪽으로는 부처님의 32상에 맞추어 <BR>
32폭의 부처님 그림을 그려 <BR>
아난존자가 부처님의 모든것을 말하는 형식으로 <BR>
그림을 그렸고 불경의 기록 장면도 넣었다. <BR>
<PRE><FONT style="FONT-SIZE: 15pt" face=돋움 color=#ff0099> <SPAN id=style style="LINE-HEIGHT: 13px"><B>
문자의 기록은 그 이후라고 하지만 작품화하기 <BR>
위해서 아난존자의 말을 그대로 <BR>
전달하는 문자의 기록 장면도 넣었다.<BR>
<PRE><FONT style="FONT-SIZE: 15pt" face=돋움 color=#00cc00> <SPAN id=style style="LINE-HEIGHT: 13px"><B>
1. 도솔내의상 - 도솔천 호명보살이 코끼리를 타고, 마야왕비 태중에 <BR>
드시는 모습.<BR>
<PRE><FONT style="FONT-SIZE: 15pt" face=돋움 color=#ff0000> <SPAN id=style style="LINE-HEIGHT: 13px"><B>
2. 비람강생상 - 룸비니 동산에서 마야왕비가 무우수 나무가지를 잡<BR>
고 태자를 낳으시는 모습.<BR>
<SPAN style="FONT-SIZE: 15pt; COLOR: #00cc00; LINE-HEIGHT: 15px; LETTER-SPACING: 2px"> <PRE><FONT face=돋움><B>
3. 사문유관상 - 四大門으로 나가시어 사람이 태어나 늙어 병들어 죽<BR>
는 허무함을 느끼는 모습.<BR>
<SPAN style="FONT-SIZE: 15pt; COLOR: #0033ff; LINE-HEIGHT: 15px; LETTER-SPACING: 2px"> <PRE><FONT face=돋움><B>
4. 유성출가상 - 성을 넘어 출가하시는 모습.<BR>
<PRE><FONT style="FONT-SIZE: 15pt" face=돋움 color=#990099> <SPAN id=style style="LINE-HEIGHT: 13px"><B>
5. 설산수도상 - 설산에서 6년동안 고행하시고 목여순타에게 우미죽<BR>
을 공양받는 모습.<BR>
<SPAN style="FONT-SIZE: 15pt; COLOR: #006633; LINE-HEIGHT: 15px; LETTER-SPACING: 2px"> <PRE><FONT face=돋움><B>
6. 수하항마상 - 마군중을 항복받는 모습.<BR>
<SPAN style="FONT-SIZE: 15pt; COLOR: #cccc00; LINE-HEIGHT: 15px; LETTER-SPACING: 2px"> <PRE><FONT face=돋움><B>
7. 성불정각 - 성불을 이루시는 모습.<BR>
<SPAN style="FONT-SIZE: 15pt; COLOR: #0000ff; LINE-HEIGHT: 15px; LETTER-SPACING: 2px"> <PRE><FONT face=돋움><B>
8. 화엄대법 - 부처님이 되시자 몸을 노사나불로 변화하여 칠처구회<BR>
에 화엄경을 설하시다.<BR>
<SPAN style="FONT-SIZE: 15pt; COLOR: #ce0000; LINE-HEIGHT: 15px; LETTER-SPACING: 2px"> <PRE><FONT face=돋움><B>
9. 돈제대계 - 부처님께서 10가지 꼭 지켜야 할 것과 48경계를 설하시다.<BR>
<SPAN style="FONT-SIZE: 15pt; COLOR: #0000ff; LINE-HEIGHT: 15px; LETTER-SPACING: 2px"> <PRE><FONT face=돋움><B>
10. 녹원전법상 - 녹야원에서 교진여등 다섯 제자에게 최초로 설법하시다.
<SPAN style="FONT-SIZE: 15pt; COLOR: #630000; LINE-HEIGHT: 15px; LETTER-SPACING: 2px"> <PRE><FONT face=돋움><B>
11. 중림정사 - 빈바사라왕이 절을 지어 부처님을 모시고 향을 올리는 모습.<BR>
<SPAN style="FONT-SIZE: 15pt; COLOR: #660066; LINE-HEIGHT: 15px; LETTER-SPACING: 2px"> <PRE><FONT face=돋움><B>
12. 이모구도 - 이모가 팔경법을 잘지키기로 다짐을 하고 스님이 되다.<BR>
<SPAN style="FONT-SIZE: 15pt; COLOR: #ff00ff; LINE-HEIGHT: 15px; LETTER-SPACING: 2px"> <PRE><FONT face=돋움><B>
13. 아난색유 - 아난이 우유를 짜오다.<BR>
<SPAN style="FONT-SIZE: 15pt; COLOR: #ff0000; LINE-HEIGHT: 15px; LETTER-SPACING: 2px"> <PRE><FONT face=돋움><B>
14. 정토연기 - 왕사성 빈바사라왕 왕비에게 정토의 연기를 설하시는 <BR>
모습.<BR>
<SPAN style="FONT-SIZE: 15pt; COLOR: #330033; LINE-HEIGHT: 15px; LETTER-SPACING: 2px"> <PRE><FONT face=돋움><B>
15. 극락연기 - 아미타부처님이 전생에 법장비구로 출가하여 48원을 <BR>
세우고 정진하여 부처님이 되어 지금도 서방정토 극락 <BR>
세계에서 설법하시고 계시는 모습.<BR>
<PRE><FONT style="FONT-SIZE: 15pt" face=돋움 color=#ff0099> <SPAN id=style style="LINE-HEIGHT: 13px"><B>
16. 부모은설 - 부처님께서 한무더기 사람의 뼈를 모시고, 예배하고 <BR>
아난에게 부모님의 은혜를 설하시는 모습.<BR>
<PRE><FONT style="FONT-SIZE: 15pt" face=돋움 color=#660066> <SPAN id=style style="LINE-HEIGHT: 13px"><B>
17. 목련구모 - 목련존자가 어머님을 구하기 위해 지옥에 가다.<BR>
<PRE><FONT style="FONT-SIZE: 15pt" face=돋움 color=#ce0000> <SPAN id=style style="LINE-HEIGHT: 13px"><B>
18. 소아시토 - 어린 아이가 부처님전에 흙을 쌀이라고 보시하고 그 <BR>
공덕으로 후세에 왕이 되었다.<BR>
<PRE><FONT style="FONT-SIZE: 15pt" face=돋움 color=#0000ff> <SPAN id=style style="LINE-HEIGHT: 13px"><B>
19. 문수문병 - 문수보살이 유마거사전에 문병하시는 모습.<BR>
20. 십이연기 - 부처님께서 십이 연기를 설하시다.<BR>
<PRE><FONT style="FONT-SIZE: 15pt" face=돋움 color=#006633> <SPAN id=style style="LINE-HEIGHT: 13px"><B>
21. 미타경설 - 부처님께서 사리자에게 아미타경을 설하시다.<BR> <FONT color=red>
22. 원각총지 - 부처님께서 문수보살, 보현보살, 보안보살, 금강장보<BR> <FONT color=#333300>
살, 미륵보살, 청정혜보살, 위덕자재보살, 변음보살, <BR> <FONT color=#663300>
정제업장보살, 보각보살, 원각보살, 현선수보살을 상대<BR> <FONT color=#000099>
로 원각경을 설하시다.<BR>
23. 능가경설 - 부처님께서 능가산에서 대혜보살을 상수로하여 능가<BR> <FONT color=#330066>
경을 설하시다.<BR>
24. 능엄대정 - 부처님께서 아난과 마등가를 앞에 두고 능엄경을 설<BR> <FONT color=#330099>
하시다.<BR>
25. 금강경설 - 부처님께서 수보리를 상대로 금강경을 설하시다.<BR> <FONT color=#cc99ff>
26. 법화묘전 - 부처님께서 사리자에게 법화경을 설하시다.<BR> <FONT color=#000063>
27. 아난팔법 - 부처님께서 문수보살에게 아난8법을 말씀하시다.<BR> <FONT color=#0000ff>
28. 전법가섭 - 부처님께서 가섭에게 무언의 법을 전하시다.<BR> <FONT color=#003163>
29. 촉루지장 - 부처님께서 지장보살에게 미륵불 출세까지 사바세계 <BR>
중생 구제를 부탁하니 지장보살을 중생 구제의 원을 세우시다.<BR> <FONT color=#006363>
30. 열반군습 - 부처님께서 열반경을 설하시다.<BR> <FONT color=#00ce00>
31. 쌍림열반상 - 부처님께서 사라쌍수 아래에서 열반에 드시다.<BR> <FONT color=#63ce00>
32. 칠일정진 - 아난존자는 한쪽발을 들고 칠일정진후 아라한과에 들<BR>
게되었다.<BR>
여기에서 font-size:15pt는 글씨크기이고 letter-spacing:2px 는
글짜와글짜사이의 간격이고 color:330033 에서 330033 가글짜색깔
line-height=35px 는 글짜줄과 줄사이의 간격이다.
face=돋움 는 글짜모양이다.
여기에서는 FONT-SIZE: 15pt 가 글짜크기이고 face=돋움 글짜모양
color=006633 에서 006633 가 글짜색깔 LINE-HEIGHT: 33px 는
글짜줄과줄사이의 간격 글짜색깔만 바꿀때는
만 부처넣기해서 속의 330066 만 바꾸면되고
글짜크기만 바꿀때는 를 넣어면 된다.
****************************************
아난여시아문도
아난존자는 오랫동안 부처님을 모시면서 보고들은
부처님 말씀을 모두 전달한 큰 역할을 한 분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아난존자에 대한 그림은
거의 볼 수 없고 있다면 후불탱화에서 십대제자중
한사람으로 등장할 뿐이다.
그점이 아쉬워 아난존자의 여시아문을 구상해 보았다.
바깥쪽으로는 부처님의 32상에 맞추어
32폭의 부처님 그림을 그려
아난존자가 부처님의 모든것을 말하는 형식으로
그림을 그렸고 불경의 기록 장면도 넣었다.
문자의 기록은 그 이후라고 하지만 작품화하기
위해서 아난존자의 말을 그대로
전달하는 문자의 기록 장면도 넣었다.
1. 도솔내의상 - 도솔천 호명보살이 코끼리를 타고, 마야왕비 태중에
드시는 모습.
2. 비람강생상 - 룸비니 동산에서 마야왕비가 무우수 나무가지를 잡
고 태자를 낳으시는 모습.
3. 사문유관상 - 四大門으로 나가시어 사람이 태어나 늙어 병들어 죽
는 허무함을 느끼는 모습.
4. 유성출가상 - 성을 넘어 출가하시는 모습.
5. 설산수도상 - 설산에서 6년동안 고행하시고 목여순타에게 우미죽
을 공양받는 모습.
6. 수하항마상 - 마군중을 항복받는 모습.
7. 성불정각 - 성불을 이루시는 모습.
8. 화엄대법 - 부처님이 되시자 몸을 노사나불로 변화하여 칠처구회
에 화엄경을 설하시다.
9. 돈제대계 - 부처님께서 10가지 꼭 지켜야 할 것과 48경계를 설하시다.
10. 녹원전법상 - 녹야원에서 교진여등 다섯 제자에게 최초로 설법하시다.
11. 중림정사 - 빈바사라왕이 절을 지어 부처님을 모시고 향을 올리는 모습.
12. 이모구도 - 이모가 팔경법을 잘지키기로 다짐을 하고 스님이 되다.
13. 아난색유 - 아난이 우유를 짜오다.
14. 정토연기 - 왕사성 빈바사라왕 왕비에게 정토의 연기를 설하시는
모습.
15. 극락연기 - 아미타부처님이 전생에 법장비구로 출가하여 48원을
세우고 정진하여 부처님이 되어 지금도 서방정토 극락
세계에서 설법하시고 계시는 모습.
16. 부모은설 - 부처님께서 한무더기 사람의 뼈를 모시고, 예배하고
아난에게 부모님의 은혜를 설하시는 모습.
17. 목련구모 - 목련존자가 어머님을 구하기 위해 지옥에 가다.
18. 소아시토 - 어린 아이가 부처님전에 흙을 쌀이라고 보시하고 그
공덕으로 후세에 왕이 되었다.
19. 문수문병 - 문수보살이 유마거사전에 문병하시는 모습.
20. 십이연기 - 부처님께서 십이 연기를 설하시다.
21. 미타경설 - 부처님께서 사리자에게 아미타경을 설하시다.
22. 원각총지 - 부처님께서 문수보살, 보현보살, 보안보살, 금강장보
살, 미륵보살, 청정혜보살, 위덕자재보살, 변음보살,
정제업장보살, 보각보살, 원각보살, 현선수보살을 상대
로 원각경을 설하시다.
23. 능가경설 - 부처님께서 능가산에서 대혜보살을 상수로하여 능가
경을 설하시다.
24. 능엄대정 - 부처님께서 아난과 마등가를 앞에 두고 능엄경을 설
하시다.
25. 금강경설 - 부처님께서 수보리를 상대로 금강경을 설하시다.
26. 법화묘전 - 부처님께서 사리자에게 법화경을 설하시다.
27. 아난팔법 - 부처님께서 문수보살에게 아난8법을 말씀하시다.
28. 전법가섭 - 부처님께서 가섭에게 무언의 법을 전하시다.
29. 촉루지장 - 부처님께서 지장보살에게 미륵불 출세까지 사바세계
중생 구제를 부탁하니 지장보살을 중생 구제의 원을 세우시다.
30. 열반군습 - 부처님께서 열반경을 설하시다.
31. 쌍림열반상 - 부처님께서 사라쌍수 아래에서 열반에 드시다.
32. 칠일정진 - 아난존자는 한쪽발을 들고 칠일정진후 아라한과에 들
게되었다.
'~일상~ > 컴퓨터 배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악이 안나올때 윈미디어 설정 요령 (0) | 2012.02.03 |
---|---|
응답없는 프로그램 빨리 닫기 regetid 편집하기 (0) | 2012.01.26 |
Ctrl 키의 여러 기능 (0) | 2011.06.01 |
XP컴퓨터에서 재미있는 단축 키의 위력 (0) | 2011.06.01 |
안전화면 유지와 하드 공간 비워주기 (0) | 2011.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