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청의 아름다움 2020기획전시

제3회 단청의 아름다움 전시

단청단청 2020. 8. 3. 09:06

단청의 아름다움 찾아가는 전시가 2020년 8월 11일 부터 13일 까지 경남 산청군 시천면 남명로 159번길 1(시천면 원리 170) 덕산중학교 채육관에서 전시된다.(코로나19의 여파로 재한된 규정으로 인하여 전시된 작품들을 여기에 상세하게 올림니다)

     금단청 채화과정

단청이 완성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표현하였다.

 

   운룡도_180X188cm

 

 용은 상상의 동물로 동양에서 네 가지 신령스러운 동물, 즉 사령(四靈) 가운데 우두머리로 꼽힌다. 세속에서는 비늘이 있는 것을‘교룡(蛟龍)’, 날개가 있는 것을‘응룡(應龍)’, 뿔이 있는 것을‘규룡(虯龍)’, 뿔이 없는 것을‘이룡(螭龍)’, 승천하지 못한 것을‘반룡(蟠龍)’, 물을 좋아하는 것을‘청룡(蜻龍)’, 불을 좋아하는 것을‘화룡(火龍)’, 울기 좋아하는 것을‘명룡(鳴龍)’, 싸우기 좋아하는 것을‘석룡(蜥龍)’이라고 하고, 그 중에 규룡을 가장 우두머리로 여긴다. ·규룡(虯龍): 『설문해자』에 의하면 뿔이 달린 용을 규룡이라 한다. 또한 규룡은 곰을 짊어지고 논다고 하였다. 이상과 같이 용은 다양한 종류와 상징성을 지닌 변  화무쌍한 영물(靈物)로서 받아들여졌다.

    사신도150X132cm

 종다라니 부위에 단청문양을 장식하고 반자 부위에 사신도(동,[] 청룡 서,[] 백호, 남,[전] 주작, 북,[후] 현무)를 표현 하였다.

     까치호랑이223X220cm

 부패관료를 비웃는 까치호랑이를 호랑이 담배피우는 민화적요소를 접목하여 토끼가 불을붙여주고 거북과 단청머리초속의 문양을 접목하여 표현하였다

    주위십이지신도49X183cmX6

 건물의 기둥에 들어가는 주위문양이다. 12가지 문양을 다르게 구상하고 출초하여 십이지신도를 표현하였다.

    주위십이지신도49X183cmX6

 건물의 기둥에 들어가는 주위문양이다. 12가지 문양을 다르게 구상하고 출초하여 십이지신도를 표현하였다.

   쌍봉도93X67cm

 봉황 사령(四靈) 중에 하나로서 상상의 새, 봉황은 모든 조류의 우두머리로 속칭 조왕(鳥王)이라고 부른다. 수컷을 봉(鳳)이라 부르며, 암컷을 황(凰)이라 일컫는다. 옛 사람들은 이 새가 천하의 치란(治亂)을 능히 아는 새라고 여겼으며, 이 때문에 훌륭한 임금이 정사를 맡아 천하가 태평할 때에만 봉황이 출현한다고 하여 사령(四靈)의 하나로 꼽았다. [산해경]에서는 “봉황이 남극의 단혈(丹穴)에서 태어난다”라고 기록되고 있다. 여기에서 단혈은 조양(朝陽)의 골짜기를 가리키는데, 조양은 곧 태양을 마주하는 것으로 길운의 징조를 상징한다. 봉황은 바로 단혈에서 생장하기 때문에 ‘단봉(丹鳳)’이라 일컬어지며, 이와 관련하여 [시경(詩經)]에는 “봉황이 우네, 저 높은 언덕에서 오동나무가 자라 네, 저 조양에서...”라고 하였다. 이 시의 내용인 즉 봉황은 매우 높은 곳에 살고 있다는 의미로 길운의 뜻을 상징하는 것이다. 또한 [금경(禽經]에서는 “새의 종류 360가지 가운데 봉황이 새의 우두머리이다. 그래서 봉황이 날면 뭇 새들이 뒤따르며, 봉황이 나타나면 임금의 정사가 공평하고 나라에 도가 있게 된다.” 라는 기록이 있다. 이와 같이 봉황은 날아갈 때 수많은 새들이 그림자처럼 뒤따르기 때문에 훌륭한 임금의 위엄과 덕망을 상징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즉 봉황문은 일반적으로 군신의 도리를 나타내는 것이다. 작품에서는 암수 두 마리를 함께 그려 쌍봉(雙鳳)을 표현하였다. 건물단청에서 봉황문은 계풍의 별지화나, 천정의 반자초 등에 주로 적용되며, 특히 그 상징성에 기인하여 임금이 정사를 돌보는 궁궐의 단청에 주로 이용되고있다.

      귀면화32X42cmX2

   귀면화46X54cm

    관자머리초안_29X90cmX8ea

 관자머리초를 구성 구성 도안하고 출초하여 천초(바늘로 출초된 초안에 구멍을 뚫는 행위)가 된 상태의 초안이다.

     관자머리_29X90cmX8

  출초 천초된 초안으로 타분하여 채색이 완성된 관자머리이다.

    영락도-78X183cm

 영락도 불교에서 쓰는 장식용구의 일종. 산스크리트의 묵타하라 또는 케이유라의 번역어로, 달개라고도 한다. 고대 인도 귀족의 장신구로 쓰였으며, 특히 손목·발목·팔뚝·목·가슴 등에 진주·옥·금속 등을 끈으로 꿰어 장식했다. 불교에서는 불상 특히 보살상 등에 장엄한 장식용구로 쓰였는데, 정토(淨土)에서는 이것이 나뭇가지에 매달려 늘어져 있다고 한다.
 한국에서는 통일신라시대 이후 토기 등에 많이 나타나고 와당에도 장식되어 있다. 고려·조선시대에는 도자기를 비롯하여 각종 기물과 건축·가구 등에도 다양하게 쓰였다. 작품에서는 오복을 상징하는 5마리의 박쥐문과 사령(四靈) 중에 하나인 용(명예의 상징인 청룡과 부를 상징하는 황룡)을 표현하고 사령중에 상상의 새, 봉황은 모든 조류의 우두머리로 속칭 조왕(鳥王)이라고 부른다. 수컷을 봉(鳳)이라 부르며, 암컷을 황(凰)이라 일컫는다.옛 사람들은 이 새가 천하의 치란(治亂)을 능히 아는 새라고 여겼으며, 이 때문에 훌륭한 임금이 정사를 맡아 천하가 태평할 때에만 봉황이 출현한다고 하여 사령(四靈)의 하나인 봉황, 연화장 세계를 상징하는 연꽃문양, 영락, 당초, 칠보무늬, 길상무늬, 팔보무늬(진주, 방승-마름모꼴 문장등) 도교의 팔선이라 일컽는 신선들의 다양한 상징물중 부채, 퉁소, 호리병 등에서 어울리는 것들로 배치 구성 도안하였다.

 

   병머리_117X38cmX8ea

 가운데 주머리를 기준으로 보면 호리병의 모양을 하고 있어 병머리라고 한다. 8가지의 각기 다른 병머리초를 구성 도안하고 출초 채색하여 완성하였다.

    장구머리_137X36cmX8e

 가운데 주머리를 기준으로 보면 장구 모양을 하고 있어 장구머리라고 한다. 8가지의 각기 다른 장구머리초를 구성 도안하고 출초 채색하여 완성하였다.

금초_30.5X39.5cmX32e

 

각종금초문양 병풍 407×198

단청의 종류 중 비단금단청, 금단청에 쓰이는 문양으로 각 폭 당 4개의 문양을 넣어서 32개의 문양으로 제작하였다.

각 문양의 섬세 보기는 다음을 클릭하면 자세하게 볼 수 있다.  http://blog.daum.net/dldnr2000/17442659

 

운룡도201X194cm

   내영도_158X199cm

 사람들은 누구나 자기의 위치에서 성심으로 기도하고 생활에 최선을 다해서 노력하면 삶 그 끝자락에 아미타부처님께서 직접 25살 보살과 함께 많은 화불들의 호위 하에 내왕하시어 우리를 서방정토 극락세계로 거두어 가신다고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직접 설하셨다고 한다. 아미타 부처님 께서 극락세계에서 관음세지 양대 보살을 위시해서 25보살이 호위를 하고 많은 화불들이 아미타부처님을 모시고 염불하는 중생을 극락세계로 접인 하러 내려오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불교에서는 누구든 간절한 마음으로 정성껏 기도하고 행한다면 극락에 임할 수 있다는 불교의 정토사상에 근원해서 그린 것이다. 중앙에 아미타부처님을 위시해서 사방으로 25보살이 호위를 하여, 자식이 병들어 죽어가는 노모를 위해 기도하고 있는데 아미타부처님께서 자식의 진심어린 기도에 감명받아 직접 노모를 인도하러 내려오는 장면을 표현하였다. 25보살의 명호로는 1 관세음보살 2 대세지보살 3 약왕보살 4 약상보살 5 보현보살 6 법장보살 7 사자후보살 8 다라니보살 9 허공장보살 10 덕장 보살 11 보장보살 12 금장보살 13 금강장보살 14 공명왕보살 15 산해해보살 16 화엄장보살 17 중보왕보살 18 원광왕보살 19 일조왕보살 20 삼매왕보살 21 정자제왕보살 22 대자제왕보살 23 백상왕보살 24 대위덕왕보살 25 무 변신 보살 들이 아미타불을 호위한다고 한다.

봉용가리개 220X200cm

봉용가리개

봉용가리개

     흑룡도122X227cm

   사신도 4폭 병풍 312X187

 창덕궁 인정전 의전 뒤에 그려져 있는 사신도를 표현 하였다. 단청의 기본 오색을 오채라 하며 오행설과 결부시키고 있는데 이것은 우주간에 운행하는 원기로서 만물을 낳게 한다는 5원소를 일컫는다.

 오행에 있어서 절기를 우선해서 보게되면

오행은 ()이고, 방위는()이며 색상으로는()이고 방위신으로는 청룡이고

여름오행은()이며, 방위는()이고 색상으로는()이며 방위신으로는 주작이다.

토용오행은 토 이고, 방위는중앙이며 색상으로는()이고 방위신으로는 인황이고

가을오행으로는(), 방위는西()이며 색상으로는()이며 방위신으로는 백호이며

겨울오행은()이고, 방위는()이며 색상은()이고 방위신으로는 현무이다.

여기에서처럼 각 동, , , 흑으로 그림 속의 공터 색을 재구성해보았다.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국보 제18호) 조사당 (국보 제19호) 

 

 무위사극락전(국보 제13호)대량머리초의 현재모습

   무위사극락전(국보 제13호)대량머리초 초안

무위사극락전(국보 제13호)채색 완성된 대량머리초

 무위사극락전(국보 제13호)대량 금문

    봉정사 대웅전(국보 제25호) 대량머리초의 현재 모습

    봉정사 대웅전(국보 제25호) 대량머리초 초안

 봉정사 대웅전(국보 제25호) 채색 완성된 대량머리초

  봉정사 대웅전(국보 제25호) 대량 금문

 

 수덕사 대웅전(국보 제49호) 대량머리초의 현재모습

   수덕사 대웅전(국보 제49호) 대량머리초 초안

  수덕사 대웅전(국보 제49호) 채색 완성된 대량머리초

  법주사팔상전(국보 제55호) 내부1층퇴량머리초의 현재 모습

   법주사 팔상전(국보 제55호) 내부1층퇴량머리초의 초안

  법주사 팔상전(국보 제55호) 채색 완성된 내부1층 퇴량머리초

  법주사팔상전(국보 제55호) 창방머리초의 현재 모습

   법주사팔상전(국보 제55호) 창방머리초의 초안

  법주사팔상전(국보 제55호) 채색 완성된 창방머리초

  송광사국사전(국보 제56호)대량머리초의 현재 모습

   송광사국사전(국보 제56호)대량머리초의 초안

  송광사국사전(국보 제56호) 채색 완성된 대량머리초 

  금산사미륵전(국보 제62호)창방머리초의 현재 모습

  금산사미륵전(국보 제62호)창방머리초의 초안

 금산사미륵전(국보 제62호) 채색 완성된 창방머리초

 

 금산사미륵전(국보 제62호) 내부1층 귓보머리초의 현재 모습

    금산사미륵전(국보 제62호) 내부1층 귓보머리초의 초안

 금산사미륵전(국보 제62호) 채색 완성된 내부1층 귓보머리초

창덕궁인정전(국보 제225호) 대량머리초의 현재 모습

 창덕궁인정전(국보 제22호) 대량머리초의 초안

 창덕궁인정전(국보 제225호) 채색 완성된 대량머리초

 통도사 대웅전(국보 제290호) 내부 협칸 창방머리초의 현재 모습

   통도사 대웅전(국보 제290호) 내부 협칸 창방머리초의 초안

 통도사 대웅전(국보 제290호) 채색 완성된 내부 협칸 창방머리초

 통도사 대웅전(국보 제290호) 창방의 현재 모습

   통도사 대웅전(국보 제290호) 창방머리초의 초안

 통도사 대웅전(국보 제290호) 채색 완성된 창방머리초

1965년생 이욱

2003~전승공예대전 장려상 및 입선 4회

2005년 국가무형문화재 기능보존협회 회원

2008년 국가무형문화재 제48호 단청장 전수교육조교 선정

2013~2015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초빙교수

2013~ 국립무형유산원 단청강사

2016~ 단청의 아름다움 개인전 2회

 

전화번호 010-5243-3598

주소 경남 산청군 단성면 목화로907번길 20-5

블로그 blog.daum.net/dldnr2000/

이메일 dldnr3598@hanmail.net